히스타민은 diamine oxidase(DAO)에 의한 산화적 탈아미노기 반응(oxidative deamination)과 histamine N-methyltransferase(HNMT)에 의한 메틸화반응(methylation)으로 대사된다.

DAO는 상피세포의 원형질막(plasma membrane)과 관련된 소포구조에 저장되어 있다가 자극에 의해 세포외부로 분비된다. DAO는 비만세포에서 분비되거나 음식으로 섭취한 히스타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포유동물에서 DAO의 발현은 특정 조직으로 제한된다. 소장, 상행결장 및 태반과 신장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난다.

HNMT는 DAO와 마찬가지로 히스타민을 비활성화하는 효소로 세포내 공간에서 히스타민을 대사시키는 세포질 단백질(cytosolic protein)이다. HNMT는 인체에 광범위하게 발현되고, 신장과 간에서 가장 크게 발현이 되며 비장, 결장, 전립선, 난소, 척수, 기관지, 기도 순으로 나타난다. 특히 기관지 상피에서 히스타민을 분해하는 주 효소는 HNMT로 여겨지고 있다.

DAO나 HNMT의 활성에 필요한 cofactor의 섭취도 중요하다. DAO는 pyridoxal phosphate(비타민 B6), Cu, 비타민C 등이 필요하며, HNMT는 메틸화반응(methylation)에 필요한 methionine, folic acid, 비타민 B12 등이 필요하다.

출처 : 한국의약통신(http://www.kmpnews.co.kr)